독서

"인생에서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이루는 지름길" - 시크릿 -

거인의서재 2022. 6. 29. 23:02

    "인생에서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이루는 지름길은 지금 행복을 느끼는 것이다."

 

 

    시크릿이 소개하는 끌어당김의 법칙은 부, 인간관계 그리고 건강에도 적용된다. 돈을 끌어당기는 방법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겠다. 우리는 풍요에 집중해야 한다. 우리에게 들이닥치는 카드청구서, 공과금, 이자비용 등에 집중해서는 안된다. 우리는 우리가 부유해진 상황을 떠올려야 한다. 나는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을 전환하면 돈이 보이기 시작한다. 당장 가난에 허덕일 때 혹은 지출에 허덕일 때는 세상이 모두 지출로만 보이게 된다. 그러나 풍요로 눈을 돌리면, 돈이 들어오는 것으로 우리의 시선을 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돈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집중하면 돈이 부족한 온갖 상황을 만들어내게 될 것이다. 돈을 끌어당기려면 반드시 풍족한 상태에 집중해야 한다."

 

    이때, 강력한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방법이 하나 있다. 베풀기이다. 베푸는 행위는 내가 충분히 가졌다는 마음을 가져야만 행할 수 있다. 혹은 베푸는 행위를 통해서, 내 스스로가 풍족하다는 마음을 느낄 수도 있다. 이때 우리는 베품과 희생은 분명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베풀기와 희생하기는 매우 다르다. 충만한 마음으로 베풀면 기분이 매우 좋다. 희생은 그리 기분이 좋지 않다. 둘을 혼동하지 마라. 둘은 정반대다. ...(중략)... 희생은 결국 원망으로 이어진다."

 

    두번째는 인간관계를 끌어당기는 방법이다. 먼저 책의 한 구절을 소개하겠다.

    "남들에게 대우 받기 바라는 대로 자신을 대화지 않으면, 당신은 결코 현재 상태를 바꿀 수 없다."

    "당신 스스로 자신과 함께하기를 즐거이 하지 않으면서 그 누가 당신과 함께하기를 즐거이 여기리라 기대하겠는가?"

    "남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면서, '그러면 좋은 사람이 된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다. 천만에! 자신을 희생하는 것은 철저한 결핍 의식에서 비롯된 행동이다."

인간관계의 법칙은 스스로를 존중하고 스스로를 소중히 대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다른 사람에게서 해결책이나 행복을 구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모든 해결책과 행복은 내가 만드는 것이다. 나와 함께하는 사람은 그저 이를 나와 함께 나눌 뿐이다. 스스로를 사랑하고, 스스로 행복해지는 연습을 해나간다면 내가 충만해지고 이로 인해 주변사람들을 끌어당길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 재미있었던 구절이 있어 함께 적는다. 멋진 배우자를 만나기를 원했던 한 여성의 이야기이다.

    "그러던 어느날 여자가 집에 도착해서 차고 한가운데 주차화다가, 문득 자신의 소원을 스스로 망쳐놓고 있었음을 깨닫고 목이 메었다. 차고 가운데 주차하면 배우자가 주차할 공간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중략)... 그래서 여자는 차고를 깨긋이 청소하고 자기 차를 한쪽에 주차했다. 남은 쪽에는 완벽한 배우자가 쓸 수 있도록. ...(중략)... 침대에서도 한가운데서 자다가 한쪽에서 자기 시작했다. 배우자 자리를 남겨두려는 배려였다."

우리는 우리가 요청한 것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무언가를 요청했다면, 그것을 이미 받았다고 생각하고 그게 맞게 행동해야 한다. 침대와 차고의 한쪽을 비워두는 것은 우스꽝스러워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조금만 깊이 생각해보면 이 또한 매우 유효한 전략이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완벽한 배우자를 꿈꾸고 이것이 이미 실현되었다고 믿게 되면, 나의 삶은 완전히 뒤바뀐다. 데이트를 할 때 입을 옷을 고르게 되고, 함께 먹을 음식을 고민한다. 함께 할 공간을 정리하게 되고, 내가 만날 사람을 떠올리며 스스로 좋은 감정을 유지하며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행복한 감정이 뿜어져 나온다면, 자연스레 완벽한 배우자와 조금씩 가까워질 수 밖에 없다.

 

    세번째는 건강이다. 건강 역시 위 2가지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우리가 원하는 우리의 몸 상태에 집중하는 것이다. 멋진 몸을 가지고 싶다면, 멋진 몸을 상상하고 거울을 보면서 이를 구체적으로 그리면 된다. 그러면 어느새 완벽한 몸이 따라올 것이다. 질병을 이겨내는 것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아플 때, 질병 그 자체에 집중하면 아픈 것이 점점 더 나를 따라오게 된다. 아픈 상태와 질병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그래서 행복한 상황 혹은 건강한 모습으로 나의 마음을 옮긴다면 아픈 것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행복은 생각보다 큰 힘을 가지고 있다. 행복을 느끼고 많이 웃으면, 어느새 건강도 자연스레 따라온다.

 

 

2022.06.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