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생산성

몰라서 잃어버리지 말자, 시간 도둑 잡기(하편)

거인의서재 2024. 4. 20. 12:42

시간 도둑을 잡을 수 있는 7자기 방법

 

방법4. 차단 앱 사용하기


   앱의 도움을 받는 방법도 있다. 특정 앱에 대한 접근을 차단해주는 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 역시도 내가 애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차단앱은 생각보다 많은 옵션을 제공하고 있어서 내가 원하는 만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정 앱에 대해서 사용 시간이나 접속 횟수를 제한하고 이를 초과하면 그때부터 앱 접근을 차단할 수도 있고, 특정 장소에서만 앱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옵션도 있다. 허용할 앱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모두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5분만 해야지 하고 시작했던게 1시간, 2시간으로 늘어나는 일을 방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방법5. 로그아웃하기


   효과적인 차단 방법 또 한가지는 로그아웃을 하는 것이다. 인스타를 사용했다면 앱을 종료할 때 로그아웃을 하자. 혹은 자동 로그인 옵션을 해제해두자. 그러면 앱을 쓸 때마다 로그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그리고 이 번거로움이 앱 사용을 줄여준다. 
    자동 로그인을 해두었을 때, 하루 10번 앱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자동 로그인을 해제한다면 앱 사용 횟수는 10번이 아니라 8번, 7번 이하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앱을 쓸 때마다 다시 로그인을 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가끔씩 로그인이 풀려있어 짜증이 났던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기업들이 왜 자동 로그인 기능을 만들었을지 생각해보자. 자동 로그인 기능이 있을 때, 앱 사용량이 더 높으니 이 기능을 추가했을 것이다.

 

방법6. 계정 삭제하기


   계정을 삭제하는 건 특정 앱을 이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 특히 유용하다. 내가 시간을 잡아먹던 게임을 더 이상하지 않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앱만 지울게 아니라 계정을 함께 삭제하자. RPG 게임이라면 더더욱 그래야 한다. RPG 게임은 내가 들인 시간만큼 중독성이 비례해서 커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앱을 지운다고 해서 쉽게 끊어낼 수 없다. 앱만 지운 경우를 상상해보자. 마음 한켠에 분명 나의 게임 캐릭터가 살아 숨쉴 것이다. 출석 보상, 이벤트 아이템, 랭킹 등이 눈 앞에 아른거릴 것이 뻔하다. 그럼 결국 다시 게임을 다운로드할 가능성이 커진다.
    하지만 계정까지 지운다면 가상 세계에 살아있을 캐릭터를 더 이상 생각할 필요가 없다. 나를 유혹하는 무언가가 줄어드는 것이다. 혹여, 다시 게임을 설치하더라도 게임에 다시 빠질 확률이 크게 떨어진다. 이미 해봤던 걸 처음부터 다시 하겠다고 생각하면 게임에 대한 흥미가 반감될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계정을 삭제할 때, 걸림돌이 되는 방식이 하나있다. 바로 SSO(Single Sign On)라는 방식으로 계정을 만든 경우다. 소셜 로그인으로 알려져있기도 하다.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하기,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 하기와 같은 것들을 SSO라고 보면 된다. SSO로 계정을 만든 경우, 계정 삭제 기능을 앱 내에서 제공하지 않는 경우들이 있다. 이럴 때는 구글이나 네이버의 로그인 관리 페이지에 들어가서 해당 계정과 연결된 서비스를 삭제하면 된다. 다만, 이럴 경우 데이터가 완벽하게 지워지지 않을 수도 있기는 한데 손쉽게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 중에서는 이것이 최선이다.

 

방법7. 추천 컨텐츠 바꾸기


   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추천 컨텐츠를 바꾸는 일이다. 유튜브, 인스타, 틱톡 같은 앱에 뺏기는 시간은 줄이고 싶지만 앱을 지우고 싶지는 않다면 이 방법을 추천한다. 우리가 컨텐츠에 그토록 많은 시간을 뺏기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좋아할 만한 컨텐츠를 앱이 자꾸만 보여주기 때문이다. 추천 컨텐츠를 끄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그럴 수 없다면 추천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바꾸는 것이 대안이다.
   유튜브를 예로 들어서, 추천 컨텐츠를 바꾸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하겠다. 유튜브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는 수많은 추천 영상들이 뜬다. 그렇다면 어떤 영상이 추천되는걸까? 추천 영상을 선정하는 기준은 크게 2가지 방식을 따른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하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기반한 추천이다. 당신이 20대, 대학생, 여성에 해당한다고 가정해보자. 다른 집단에 비해서 화장품, 의류, 여행을 주제로 한 영상이 추천될 확률이 더 높다. 다만,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은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추천 컨텐츠는 바꿀 수가 없다.
   그래서 우리는 두번째 추천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행동에 기반한 추천이다. 내가 유튜브 내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기준으로 영상을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사용자들의 구독, 시청, 좋아요, 검색 기록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면 A라는 사용자가 좋아할 가능성이 높은 영상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게임 영상을 보느라 시간을 많이 낭비한다면 게임 영상 시청 기록을 지우고 구독을 해지하자. 그리고 내 삶에 도움이 될 것 같은 영상들의 시청기록을 강제로 만들어보자. 이렇게 하고 나면 추천되는 영상의 종류가 바뀌는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유튜브 첫 화면에 어떤 영상이 추천되는지는 생각보다 중요하다. 나를 자극하는 영상이 있는 경우와 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상이 있는 경우를 비교해서 생각해보자. 인스타나 틱톡 등도 마찬가지이다. 적용해보면 생각보다 효과가 크다는 것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시간을 지킬 수 있는 방법 7가지를 알아보았다.

시간의 주인으로서 나의 시간을 소중히 지켜나가자.

 

2024.04.20

 

 


시간 도둑 잡기 시리즈

몰라서 잃어버리지 말자, 시간 도둑 잡기(상편)

몰라서 잃어버리지 말자, 시간 도둑 잡기(하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