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당신이 알던 MBTI는 진짜 MBTI가 아니다

거인의서재 2023. 4. 13. 22:10

MBTI 시리즈

당신이 알던 MBTI는 진짜 MBTI가 아니다

당신이 알던 MBTI는 진짜 MBTI가 아니다(2)

 


    ESTJ는 ENTJ랑 비슷할까 아니면 ISTJ랑 비슷할까? ESFJ랑 ISFJ는 정말 E와 I의 차이만 있는 것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MBTI는 표면적으로만 이해하고 있다. 그래서 알파벳이 3개나 같다는 이유로 비슷한 성향을 가졌다고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알파벳이 3개가 같다는 사실은 그렇게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하나가 달라도 정반대의 성향을 보일 수도 있기 때문다. 오늘은 진짜 MBTI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오늘의 이야기는 "당신이 알던 MBTI는 진짜 MBTI가 아니다(고영재 지음)"를 바탕으로 했다.

 

    우리가 MBTI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혹은 MBTI는 과연 어떤 도구일까?라는 질문을 던져보자. 물론 MBTI를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알아두면 유용하다. 이는 자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타인을 이해하고 관계를 맺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MBTI는 성격유형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그런데 이때 성격유형이라 함은 우리가 타고난,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성격을 말한다. 즉, 성격 유형 검사란 '심리적 선호경향'을 찾는 과정인 것이다. 우리가 왼손과 오른손 중에 더 편한 손을 가지고 있듯이 우리 마음에도 심리적인 오른손 혹은 왼손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런 선천적 성향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심리적 선호를 알면 우리는 이에 맞게 우리 삶의 조정하고 설계해나갈 수 있다. 개인의 능력을 더 잘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찾을 수도 있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을 피하고 스트레스를 쉽게 관리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맺음에서도 심리적 선호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BTI를 활용하려면 자신 혹은 타인의 MBTI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자신의 MBTI를 알고 있다. 그런데 이것이 정말 정확할까? 인터넷에 수많은 MBTI 검사가 떠돌아 다닌다. 그런데 사실 무료 검사의 정확도는 그리 높지 않다고 한다. 왜 그럴까? 이는 무료 MBTI 검사들이 우리의 심리가 아니라 행동에 기반을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MBTI는 심리구조나 성격을 파악하는 검사이다. 행동을 분석하는 검사가 아니다. 행동이라고 하는 것은 성격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이외에 수많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서 나타난다. A라는 사람이 매주 친구들과 약속을 잡고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고 하더라도 A가 실제로는 조용히 있는 시간을 더 선호하는 사람일 수도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잘해주는 B라는 친구가 알고 보면 논리적인 분석을 더 좋아하는 사람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행동을 보는 것은 정확하지 못하다. 자신의 내면을 좀 더 깊이있게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서 스스로의 성향을 정확히 이해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료검사가 아니라 전문가와의 상담를 통해서 좀 더 확실한 MBTI를 알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렇다면 진짜 MBTI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MBTI는 기본적으로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칼 융은 사람의 성향을 두가지 축으로 나누었다. 먼저,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고 이와는 반대로 정보의 이면을 보고 패턴을 분석하거나 새로운 사고를 떠올릴 수도 있다. Sensing은 정보를 주어진대로 인식하는 성향이며, iNtution은 정보를 자신만의 직관을 활용해서 바라보는 성향이다. 이것이 하나의 큰 축이다. 다른 한 축은 정보에 대한 판단 방식이다. 판단 방식 중 하나는 Thinking이다. 판단을 내릴 때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자신과 상황을 분리하는 능력이 특징이다. 반대쪽에는 Feeling이 자리한다. 무언가 판단을 내릴 때 결정 기준을 감정으로 삼는 것이다. 타인과 나의 감정을 고려하며 특정 상황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렇게 S, N, T, F의 4가지 성향 중 무엇을 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MBTI가 결정된다. 4가지 성향은 스위치를 끄거 켜듯이 있거나 없는 것이 아니다. 4가지 성향 중 무엇이 가장 많이 발달했느냐가 중요하다.

 

    오늘은 MBTI를 찾는 방법의 도입부까지 이야기를 해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여기에 이어서, MBTI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서 조금 더 살펴보도록 하겠다.

 

 

2023.04.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