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진화 시리즈
여자는 왜 돈 많은 남자를 좋아하고, 남자는 왜 어린 여자를 좋아할까? -욕망의 진화-
관계를 이어가기 위한 남녀의 전략 -욕망의 진화(2)-
남녀의 성비가 짝짓기 시장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 욕망의 진화(3) -
"뿐만 아니라 전쟁이 발발할 확률도 남성의 비율이 낮은 사회보다는 남성의 비율이 높은 사회에서 더 높은 것처럼 보이며, 이 역시 남성이 남아돌 때 남성들 간의 갈등이 더 악화된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 "욕망의 진화" 중에서 -
인간의 짝짓기 전략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또 한가지 요소는 성비이다. 사회 구성원 중 남성이 많을 때 나타나는 짝짓기의 양상과 여성이 많은 때 나타나는 짝짓기의 양상은 확연하게 달라진다. 남성이 더 많을 때는 이혼율이 낮아지고 여성들이 결혼생활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생긴다. 아내는 관계가 깨져도 다른 남성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남편은 새로운 배우자를 구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현재의 배우자에게 장기적인 헌신을 보임으로서 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높이게 된다. 장기적인 헌신은 여성이 배우자에게서 선호하는 매우 중요한 특성이므로 여성의 결혼 만족도는 자연스레 높아지게 된다. 또한, 남성이 많은 사회에서는 남성들이 사회적인 지위를 높이거나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남성의 성비가 높았던 시기인 1980년대에 남성들이 전문직을 선호하는 경향성이 함께 높아졌다고 한다. 남성이 많으면 여성들이 좋은 배우자를 구하기가 쉬워진다. 다만, 이것이 언제나 여성에게 유익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남성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 폭력, 살인, 강간과 같은 범죄들이 더욱 심화된다. 남성들 간의 폭력이나 살인의 경우, 여성에게 자신의 배우자 가치를 증명하려는 심리 기제와 연관성이 높다. 남성 간의 경쟁이 높아질 수록 위험을 무릅쓰고 남성적 우월성을 입증해보이려는 성향이 강해지는 듯하다. 강간의 경우는 여성을 차지할 가능성이 없는 남성들이 저지르는 비중이 매우 높다고 한다. 짝짓기 시장에서 밀려나는 남성이 많아질 수록 강제에 의해서라도 성관계를 맺으려고 하는 남성들의 수도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여성의 비중이 높은 경우에는 정반대의 양상이 나타난다. 이혼율이 높아지고 여성들의 결혼 만족도는 떨어진다. 남성들은 일시적인 성관계를 가질 기회를 더 많이 갖기 때문에 한 명의 여성에게 헌신하려는 노력이 줄어든다. 여성이 더 많은 사회에서는 좋은 남편감을 차지하기 위한 여성들 간의 경쟁이 심화된다. 화장, 피부미용, 다이어트, 성형수술, 가슴확대 수술 등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생겨난다. 또한, 남성에게 매우 높은 헌신을 요구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남성이 많은 사회에 비해서 조금 더 쉽게 성관계를 허락할 가능성이 높다.
이렇듯 성비는 사회 전반적인 짝짓기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의 짝짓기 형태는 어떨까?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성비는 1:1이다. 그러나 30~34세의 경우 1.06:1, 25~29세의 경우 1.10:1, 20~24세의 경우 1.15:1를 기록하고 있다. 여성에 비해서 남성이 10% 이상 더 많은 것이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남성들 간의 경쟁이 매우 높을 수 밖에 없음을 암시한다. 그런데 한국의 남녀성비에는 한 가지 더 특이한 점이 있다. 남녀성비의 지역별 격차가 매우 크다. 서울의 20대 성비는 98로 오히려 여성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30대에서도 비슷하다. 그런데 강원도나 경상북도의 20대 성비를 살펴보면 20대 성비가 125 ~ 135 정도이다. 대도시인 서울과의 격차가 매우 크다. 수도권의 나머지 지역인 경기도나 인천의 경우에는 20대 성비가 110 근처이다. 지방으로 갈 수록 남성의 비중이 매우 크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대도시보다 지방에 사는 남성들이 짝짓기 시장에서 훨씬 더 불리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성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조금 더 두드러진다고도 볼 수 있다. 혹은 지방에서의 남아선호 사상이 훨씬 더 높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은 성비 불균형은 단순히 남성들이 짝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만을 말하지는 않는다. 이는 매우 높은 확률로 사회적인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앞서 말했듯이 남성이 매우 많은 사회에서는 다양한 범죄가 일어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사회보다 더 높다. 특히나 지방의 경우 성비의 불균형이 훨씬 더 심각하기 때문에 사회 갈등의 불씨는 더욱 크다. 일자리나 기반시설의 부족 등의 이유로 지방과 도시 간의 불균형이 심각한 상태에서 강력 범죄까지 높아진다면 지방과 도시간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것이고 이는 도시의 인구과밀화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이는 다시금 남성들의 지위나 자원 획득에 위협을 주게 되고 남성 간의 경쟁을 다시 심화시킨다. 저출산, 남녀갈등, 양극화 등 현재 대한민국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 문제의 근본 원인 중 하나는 강한 성비 불균형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짝짓기는 인간을 움직이는 가장 강력한 기제이기 때문에 다른 어떤 사회이론보다도 설명력이 높을 것이다.
오늘은 우리 사회를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이론을 소개해보았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사회과학적인 이론이나 연구는 절대불변의 진리가 아니다. 그저 사회의 경향성과 그 가능성을 암시할 뿐이다. 짝짓기 역시 사람과 사회를 움직이는 수많은 요소 중 하나일 뿐이다.
202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