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왜 돈 많은 남자를 좋아하고, 남자는 왜 어린 여자를 좋아할까? -욕망의 진화-
욕망의 진화 시리즈
여자는 왜 돈 많은 남자를 좋아하고, 남자는 왜 어린 여자를 좋아할까? -욕망의 진화-
관계를 이어가기 위한 남녀의 전략 -욕망의 진화(2)-
남녀의 성비가 짝짓기 시장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 욕망의 진화(3) -
여자는 왜 돈 많은 남자를 좋아하고, 남자는 왜 어린 여자를 좋아할까?
이는 살면서 흔하게 들어본 이야기들이다. 그러나 진실인지는 알 수 없었던 이야기이기도 하다. "욕망의 진화"는 남녀의 선호에 대한 통계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여자는 배우자감으로 어떤 남자를 선호하는지 그리고 남자는 배우자감으로 어떤 여자를 선호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각 선호에 대한 진화론적인 근거가 제시되어 있어 남녀의 배우자 선호에 대해서 과학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번식에 매우 많은 자원을 투자하여야 한다. 남성은 단 몇 분만의 정사만으로도 번식이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여성은 10개월 간의 임신기간, 출산 그리고 수유를 하는 기간까지 한번의 번식을 위해서 최소 몇 년을 투자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남성을 고르는데 아주 까다롭고 신중해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장기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남편을 골라야 안정적으로 자원을 공급받고 아이를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남편에 대한 선호를 발달시키게 된다. 따라서 여성이 배우자를 고를 때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는 헌신과 사랑이다. 기본적으로 여성은 자신에게 자원을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는다. 정서적인 안정성이나 책임감이 높은 사람, 친절한 사람 등을 선호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 다음으로 선호하는 자질은 자원의 확보 가능성을 나타내는 요소들이다. 돈이 많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혹은 똑똑하거나 부지러한 사람을 고르는 것은 이러한 요인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덩치가 크거나 힘을 센 사람을 선호하기도 한다. 이는 힘이 센 남편이 있어야 주변으로부터 나와 나의 자식들을 지킬 수 있었던 과거 사회에서 발현된 선호이다.
반면에 남성은 여성을 조금 다른 관점으로 바라본다. 남성은 번식에 가장 높은 가치를 둔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의 번식 능력을 잘 나타내는 특징들이 여성에 대한 선호로 발달하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나이이다. 남성에 비해 여성은 번식가능한 기간이 매우 한정적이다. 보통 10대 후반에서 40대까지가 가임기이기 때문에 남성들은 젊은 여성을 선호하게 된다. 고운 피부, 생기있는 입술, 반짝이는 눈, 튼튼한 걸음걸이, 몸매 등을 눈여겨 보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 때문이다. 이들 요소들은 모두 건강이나 번식 능력을 암시한다. 이와 더불어 남성이 중요시 여기는 자질은 바로 정절이나 순결이다. 여성이 아이를 가지면 어머니가 누구인지는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는다. 아이를 가진 사람이 곧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부터 100% 확실한 것이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경우 그렇지 않다. 누가 아이의 아버지인지는 어머니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존재한다. 남성들은 아이가 자신의 아이가 맞는지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는 징표를 필요로 했다. 내가 기르는 아이가 다른 사람의 아이라면 번식의 관점에서 그보다 더 큰 손실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성들은 정조를 지킬 수 있는 여성에 대한 선호를 키워왔다. 과거에는 이것이 순결이라는 선호로 나타났다. 오늘 날에는 순결이라는 요소가 찾아보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그 대신 문란하지 않은 여성 혹은 성적으로 충직한 여성에 대한 선호가 대신 발현되기 시작했다.
남녀가 각각 이성에 대해 가지는 선호에 대해서는 사람들과의 대화나 근거없는 기사들을 통해서 많이 접해왔었다. 그러나 이렇게 직접 그 선호를 눈으로 확인하니 재미있고 신기했다. 무엇보다도 이성에 대한 선호의 근간에 진화적인 이유가 놓여있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선호도가 남녀의 모든 것을 말해주지는 않지만 그래도 남녀가 서로 어떤 생물학적인 특성에 기반하여 서로를 바라보는지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성이 어떤 유형의 사람을 선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여러모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직 뒷부분에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남아있어서 기회가 되면 추가로 소개하고 싶다.
2022.10.19.